누구에게나 통하는 복지
제주복지넷
복지서비스
복지정보
복지서비스
복지서비스
공공[정부]
에너지바우처
「국민기초생활 보장법」에 따른 생계·의료급여 수급 가구 중 노인, 영유아, 장애인, 임산부, 중증질환자, 희귀질환자, 중증난치질환자, 한부모가족, 소년소녀가정(가정위탁보호아동 포함)이 포함된 가구
노인
영유아
장애인
임산부
......
공공[정부]
내집 마련 디딤돌대출(주택구입 시)
부부합산 연소득이 6,000만 원(생애최초, 신혼부부, 2자녀 이상 가구 7,000만 원) 이하, 순자산가액 3억 9,400만 원 이하 무주택세대주(단독세대주의 경우 만 30세 이상) ■ 전용면적 85m²(도시지역이 아닌 읍·면지역 100m²......
공공[정부]
여성 경제활동 촉진 지원사업
혼인·임신·출산·육아와 가족구성원의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중단했거나(경력단절여성) 경제활동을 해본 적이 없는 여성 중 취업희망자 여성새로일하기센터(새일센터)에서 취업상담, 직업교육훈련, 인턴십, 취업연계 및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 ......
공공[정부]
난임부부 시술비 지원
■ 난임진단을 받은 난임부부■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80%(2인 가족 건강보험료액 기준 직장 19만 1,093원, 지역 20만 980원) 이하인 가구 또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 체외수정(신선배아, 동결배아......
공공[정부]
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
■ 소득기준 :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* 가구의 임산부 * 3인 가구 기준 월 717만 1,000원,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포함■ 질환기준 : 19대 고위험 임신질환*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자 * 19대 고위험 임신질환 :......
공공[정부]
표준모자 보건수첩 제작·배부
임신부 또는 출생사실이 확인된 영유아 임신준비부터 자녀육아까지 유용한 정보가 수록된 수첩 배부※ 산전검진·예방접종 등 진료일정관리 및 건강, 육아 정보 보건소에 신청 주소지 보건소 및 보건복지상담센터(☎129)
▷알려드립니다
수첩에 ......
공공[정부]
임산부 철분제·엽산제 지원
보건소에 등록한 임산부 ■ 철분제 지원(임신 16주부터 5개월분) : 철분결핍성 빈혈로 유발되는 조산, 유산, 산모 사망 예방■ 엽산제 지원(임신 전·후 3개월까지) : 태아의 유산, 사산, 선천성 기형 등을 예방 보건소에 신청(보건소마다 지......
공공[정부]
임신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
임신부(임신 주수에 관계없이 접종 가능)※ 임신부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(산모수첩 등)를 제시한 경우에 한함 전국 지정 의료기관 및 일부 보건소 이용 시 인플루엔자 백신, 매년 1회 무료접종 지원※ 접종시기가 정해져 있는 계절사업으로 접종기......
공공[정부]
영양플러스
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80%(4인 기준 390만 1,032원) 이하 가구 중 영양위험요인(빈혈, 저체중, 성장부진, 영양섭취불량 등)을 가진 임신부, 출산·수유부, 만 6세 미만 영유아 ■ 개인별 영양 상태에 따라 영양보충식품(쌀, 감자......
공공[정부]
임신·출산 진료비(의료급여)
임신 중이거나 출산(유산 및 사산 포함)한 수급권자 및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의 영아 임신·출산 관련 진료 시 최대 60만 원(다태아인 경우 100만 원)의 진료비를 가상계좌로 지원※ 임신·출산진료비는 출산예정일(출산일)부터 1년까지 사용가능......
요양기관(병원, 의원, 조산소)이 아닌 자택 등에서 출산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, 의료급여수급자 ※ 해외출산, 입양자녀 제외 자녀 수에 상관없이 출산할 때마다 25만 원의 출산비 지급 ■ 건강보험가입자 :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■ 의......
공공[정부]
출산비용 지원
출산(유산, 사산 포함)한 기초생활수급자, 긴급복지 지원대상자, 등록 여성장애인
대상
지원내용
생계급여·의료급여·주거급여 수급자
아이 1명당 70만 원(쌍둥이는 140만 원)
긴급복지 지원대상자
아이 1명당 ......
공공[정부]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,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20%* 이하에 해당하는 출산 가정※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·사산의 경우도 포함※ 소득기준을 완화하여 지자체별 예외 지원하는 사항은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......
공공[정부]
출산전후휴가(유산사산휴가) 급여 지원
휴가가 끝난 날 이전까지의 피보험 단위기간*이 180일 이상이면서,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* 피보험 단위기간 : 고용보험 피보험기간 중 보수 지급의 기초가 된 날의 수
구분
지원내용
출산전후휴가
휴가
- ......
공공[정부]
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
소득활동을 하고 있으나 고용보험 미적용으로 “출산전후휴가급여”를 지원받지 못하는 출산 여성(유산, 사산의 경우 포함)■ 피고용인이 없는 단독·공동사업자(부동산임대업 제외)■ 출산 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활동을 한 특수형태근로자, 프리......